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야근수당 계산방법, 얼마 받아야 맞는 걸까?

by money-log 2025. 8. 6.
반응형

야근수당 계산방법, 얼마 받아야 맞는 걸까?

회사에서 야근을 했는데 야근수당을 제대로 받고 있는지 궁금하신가요? 야근수당은 근로자의 당연한 권리인데도 정확한 계산법을 모르는 분들이 정말 많습니다. 특히 야근수당 계산방법을 제대로 알고 있으면 내가 받아야 할 정당한 금액을 확인할 수 있어요.

야근수당은 단순히 기본급만으로 계산하는 게 아니라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하고, 연장근로와 야간근로에 따라 가산율도 달라집니다. 이 글에서는 복잡한 야근수당 계산방법을 실제 사례와 함께 쉽게 설명드릴게요.

야근수당이란? 법적 기준부터 알아보기

야근수당은 정확히 말하면 '연장근로수당'과 '야간근로수당'을 합친 개념입니다. 근로기준법 제56조에 따르면, 1일 8시간 또는 1주 40시간을 초과해서 일하면 연장근로수당을, 오후 10시부터 익일 오전 6시 사이에 일하면 야간근로수당을 받을 수 있어요.

만약 오후 10시 이후에 연장근로를 한다면? 그때는 두 가지 수당을 모두 받아야 합니다! 이런 부분을 놓치는 분들이 많은데, 알고 나면 야근수당이 생각보다 많이 나와야 한다는 걸 깨닫게 되실 거예요.

야근수당 발생 조건
• 연장근로: 1일 8시간, 1주 40시간 초과 시
• 야간근로: 오후 10시 ~ 익일 오전 6시 사이
• 휴일근로: 법정휴일(일요일) 또는 약정휴일 근무 시

통상임금 vs 기본급, 계산 기준 차이점

야근수당 계산방법에서 가장 중요한 건 바로 '통상임금'입니다. 많은 회사에서 기본급만으로 야근수당을 계산하는데, 이는 잘못된 방법이에요. 통상임금에는 기본급뿐만 아니라 고정적으로 지급되는 각종 수당도 포함됩니다.

예를 들어 직책수당, 기술수당, 가족수당처럼 매월 정해진 금액으로 나오는 수당들은 모두 통상임금에 들어가야 해요. 반면 상여금이나 복리후생비, 출장비 같은 건 제외됩니다.

구분 포함 여부 예시
기본급 포함 월 기본급 전액
고정수당 포함 직책수당, 기술수당, 가족수당
변동상여 제외 성과급, 인센티브
복리후생 제외 식대, 교통비, 출장비

통상임금을 제대로 계산하지 않으면 야근수당이 부족하게 나올 수밖에 없어요. 내 급여명세서를 한번 꼼꼼히 살펴보세요!

야근수당 계산방법과 공식

이제 본격적으로 야근수당 계산방법을 알아볼게요. 기본 공식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다만 시급 계산할 때 주의할 점들이 있어요.

1단계: 시급 계산
시급 = 월 통상임금 ÷ (1주 소정근로시간 × 52주 ÷ 12개월)
※ 주 5일제 기준: 시급 = 월 통상임금 ÷ 209시간

2단계: 각종 수당 계산
• 연장근로수당 = 시급 × 1.5 × 연장근로시간
• 야간근로수당 = 시급 × 0.5 × 야간근로시간
• 연장+야간 동시 = 시급 × 2.0 × 해당시간

계산 팁!
209시간은 주 5일제 기준입니다. 만약 토요일도 근무하는 주 6일제라면 월 평균 근로시간은 251시간으로 계산해야 해요.

실제 계산 사례로 확인하기

이론만으로는 이해하기 어려우니까, 실제 사례로 야근수당 계산방법을 확인해볼게요. 월급 250만원 받는 직장인 김씨의 경우를 들어보겠습니다.

김씨의 급여 구성
• 기본급: 200만원
• 직책수당: 30만원
• 식대: 20만원 (통상임금 제외)
• 통상임금: 230만원

1단계: 시급 계산
시급 = 230만원 ÷ 209시간 = 11,005원

2단계: 야근수당 계산 (평일 오후 8시~12시 근무)
• 연장근로: 2시간 (오후 8시~10시)
• 연장+야간: 2시간 (오후 10시~12시)

연장근로수당: 11,005원 × 1.5 × 2시간 = 33,015원
연장+야간수당: 11,005원 × 2.0 × 2시간 = 44,020원
총 야근수당: 77,035원 생각보다 많죠? 이렇게 정확히 계산하면 내가 받아야 할 야근수당이 얼마인지 알 수 있어요.

연장근로수당과 야간근로수당 구분법

많은 분들이 헷갈려하는 부분인데, 연장근로수당야간근로수당은 서로 다른 개념입니다. 시간에 따라 중복으로 받을 수 있어요!

연장근로는 시간 기준이고, 야간근로는 시각 기준입니다. 그래서 오후 10시 이후에 연장근로를 하면 두 수당을 모두 받는 거예요. 이 부분을 놓치면 수당을 덜 받게 됩니다.

시간대별 수당 정리
• 오전 6시~오후 6시: 정상근로 (기본급만)
• 오후 6시~10시: 연장근로수당 1.5배
• 오후 10시~익일 6시: 연장+야간 2.0배
• 토요일: 연장근로수당 1.5배
• 일요일(법정휴일): 휴일근로수당 1.5배

주의사항!
일부 회사에서는 "야간근로수당은 0.5배만 주면 된다"고 하는데, 이는 기본급을 별도로 지급한다는 전제하에서입니다. 만약 야간시간에 일한 걸 무급처리하고 야간근로수당만 0.5배로 준다면 이는 잘못된 거예요!

자주 하는 실수와 놓치기 쉬운 부분들

야근수당 계산방법에서 자주 발생하는 실수들을 정리해봤어요. 이런 부분들을 확인해보시면 내가 제대로 받고 있는지 알 수 있을 거예요.

1
기본급만으로 계산하는 실수
통상임금에는 각종 고정수당도 포함됩니다. 기본급 200만원, 직책수당 50만원이라면 통상임금은 250만원으로 계산해야 해요.
2
주휴수당 빼먹는 실수
월 평균근로시간 209시간에는 주휴시간 8시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를 빼먹고 계산하면 시급이 높게 나와서 야근수당이 과다계산될 수 있어요.
3
식대·교통비 포함하는 실수
식대나 교통비는 통상임금에서 제외됩니다. 실비성 지급이기 때문에 야근수당 계산 기준에 포함하면 안 돼요.
4
휴일근로 혼동하는 실수
토요일은 약정휴일, 일요일은 법정휴일입니다. 일요일에 일하면 8시간까지는 1.5배, 8시간 초과 시에는 2.0배 수당을 받아야 해요.
5
연차 사용일 제외 안하는 실수
월 중에 연차를 사용했다면 그만큼 소정근로시간에서 빼고 계산해야 합니다. 연차 8시간 사용 시 209시간에서 8시간을 뺀 201시간으로 계산해요.

정말 복잡하죠? 하지만 이런 부분들을 하나씩 체크하다 보면 내가 받아야 할 정당한 야근수당을 정확히 알 수 있어요. 회사에서 제대로 안 주고 있다면 급여명세서와 근로계약서를 챙겨서 노동청에 신고할 수도 있습니다.

야근수당은 근로자의 당연한 권리입니다. 포기하거나 참을 필요 없어요! 정확한 계산법을 알고 당당하게 요구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