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바 주휴수당 계산법 , 시급에 주휴수당 포함될까?

목차
아르바이트하면서 "주휴수당이 뭐지?"라고 궁금해하신 적 있으시죠? 알바를 해도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는데, 많은 분들이 모르고 계시더라고요. 오늘은 알바 주휴수당 계산법을 정말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복잡한 공식도 실제 예시를 들어서 설명하니까 끝까지 따라와 주세요!
주휴수당이란 무엇인가요?
주휴수당은 말 그대로 "주휴일에 대한 수당"이에요. 쉽게 말하면, 일주일 동안 열심히 일한 사람에게 하루 쉬는 날에 대해서도 돈을 주는 거죠.
•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 결근 없이 개근했다면
• 하루치 임금을 추가로 받을 수 있어요!
많은 알바생들이 "주휴수당은 정규직만 받는 거 아냐?"라고 생각하시는데, 전혀 그렇지 않아요. 근로기준법에 따라 아르바이트생도 조건만 맞으면 주휴수당을 받을 권리가 있거든요. 정말 간단하게 생각해보세요.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일하고 한 번도 빠지지 않았다면, 회사에서 여러분에게 하루치 임금을 더 줘야 한다는 거예요.
알바 주휴수당 받을 수 있는 조건
알바 주휴수당을 받기 위한 조건은 딱 2가지예요. 정말 간단하죠?
조건 | 세부 내용 | 충족 여부 |
---|---|---|
주 15시간 이상 근무 | 일주일 동안 총 근무시간이 15시간 넘어야 함 | 필수 ✓ |
개근 (결근 없음) | 정해진 근무일에 한 번도 빠지면 안 됨 | 필수 ✓ |
근무 기간 | 하루만 일해도 조건만 맞으면 주휴수당 지급 | 제한 없음 |
주 15시간이라고 하면 하루 3시간씩 주 5일 근무하거나, 하루 5시간씩 주 3일 근무하면 돼요. 근무 패턴은 상관없고 총 시간만 15시간 넘으면 됩니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건 "개근"이라는 조건이에요. 아무리 한 주에 20시간을 일했어도 하루라도 빠지면 그 주의 주휴수당은 못 받아요 ㅠㅠ
주휴수당 계산법과 공식
이제 본격적으로 알바 주휴수당 계산법을 알아볼게요. 공식 자체는 어렵지 않은데, 헷갈리기 쉬워서 천천히 설명해드릴게요.
주휴수당 = (1주 소정 근로시간 ÷ 근무일수) × 시급
여기서 "소정 근로시간"이라는 게 좀 어려워 보이는데, 그냥 "계약서에 정해진 일주일 총 근무시간"이라고 생각하면 돼요. 예를 들어서: - 주 5일 근무, 하루 4시간씩 = 주 20시간 소정 근로시간 - 주 3일 근무, 하루 6시간씩 = 주 18시간 소정 근로시간 그럼 실제로 계산해볼게요!
시급에 주휴수당 포함 여부 확인하기
알바 구할 때 시급에 주휴수당 포함이라고 써 있는 곳들 많이 봤죠? 이런 경우엔 별도로 주휴수당을 더 주지 않아요.
구분 | 시급 표기 | 주휴수당 별도 지급 | 실제 받는 금액 |
---|---|---|---|
주휴수당 미포함 | 시급 10,000원 | 지급 ✓ | 시급 + 주휴수당 |
주휴수당 포함 | 시급 11,500원 (주휴 포함) | 미지급 ✗ | 표기된 시급만 |
"주휴수당 포함 시급"인 경우, 실제로는 시급이 더 낮을 수 있어요. 총 지급받을 금액을 전체 근무시간(주휴시간 포함)으로 나눠서 실제 시급을 확인해보세요.
예를 들어 "주휴수당 포함 시급 11,500원"이고 주 20시간 근무한다면: - 실제 받는 돈: 11,500원 × 20시간 = 230,000원 - 실제 시급: 230,000원 ÷ 24시간(20시간+4시간 주휴) = 약 9,583원 어? 최저임금보다 낮네요!! 이런 식으로 속이는 업체들이 있으니까 꼭 계산해보세요.
실제 계산 예시로 이해하기
이제 실제 상황별로 알바 주휴수당 계산법을 적용해볼게요. 예시를 보면서 따라하시면 금방 이해될 거예요!
• 1주 소정 근로시간: 4시간 × 5일 = 20시간
• 주휴수당 = 20시간 ÷ 5일 × 10,000원 = 4시간 × 10,000원 = 40,000원
• 총 급여: (20시간 × 10,000원) + 40,000원 = 240,000원
• 1주 소정 근로시간: 6시간 × 3일 = 18시간
• 주휴수당 = 18시간 ÷ 3일 × 9,860원 = 6시간 × 9,860원 = 59,160원
• 총 급여: (18시간 × 9,860원) + 59,160원 = 236,640원
결국 주휴수당은 "하루 평균 근무시간 × 시급"과 같아요. 공식이 복잡해 보이지만 이렇게 생각하면 쉽죠?
그런데 주 15시간 미만이면 어떻게 될까요?
• 1주 소정 근로시간: 6시간 × 2일 = 12시간 (15시간 미만!)
• 주휴수당: 0원 (조건 미달)
• 총 급여: 12시간 × 10,000원 = 120,000원
주휴수당 계산할 때 자주 하는 실수들
실제로 알바하면서 주휴수당 때문에 놓치기 쉬운 실수들을 정리해봤어요. 이거 하나라도 놓치면 돈 못 받을 수 있어요!
계약서에 "주휴수당 포함"이라고 써 있으면 별도 지급 안 됩니다. 실제 시급이 최저임금보다 낮을 수 있으니 꼭 계산해보세요.
아무리 20시간을 일해도 하루 빠지면 그 주 주휴수당은 포기해야 해요. 정말 급한 일 아니면 개근하세요!
알바도 조건만 맞으면 주휴수당 받을 권리가 있어요. 회사에서 안 준다고 하면 고용노동부에 신고할 수 있습니다.
주 15시간 "이상"이어야 해요. 딱 15시간이면 받을 수 있지만, 안전하게 15시간을 조금 넘기는 게 좋아요.
"하루 평균 근무시간 × 시급"이 주휴수당이에요. 복잡한 공식보다 이렇게 기억하면 쉬워요.
알바하면서 주휴수당 제대로 받는 건 여러분의 정당한 권리예요. 알바 주휴수당 계산법을 정확히 알고 계산해보시고, 회사에서 안 준다고 하면 당당하게 요구하세요! 정말 간단하게 요약하면: - 주 15시간 이상 + 개근 = 주휴수당 받을 자격 생김 - 주휴수당 = 하루 평균 근무시간 × 시급 - 시급에 주휴수당 포함인지 꼭 확인하기 여러분도 이제 주휴수당 계산기 없이도 혼자서 계산할 수 있겠죠? 힘든 알바 생활이지만, 받을 돈은 꼭 받으면서 하세요!!